청년도약계좌 자격조건 신청방법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인 청년도약계좌가 6월 15일 드디어 출시됩니다. 5년간 70만원씩 입금하면 만기시에는 5000만원을 받을 수 있다는 상품입니다.

가입대상

  • 계좌개설일 기준 만 19~34세 청년
  •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 개인소득 7500만원 이하

군 복무 기간은 최대 6년까지 나이 계산때 제외해 줍니다. 만약 군대를 2년 갔다왔다면 만 36세 청년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총급여 기준 6,000만원 이하는 정부기여금 지급 및 비과세 적용되며, 총급여 기준 6,000~7,500만원은 정부기여금 지급없이 비과세만 적용됩니다.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 종합소득 기준으로 가입은 6300만원 이하, 기여금을 받을 수 있는 건 4800만원 이하입니다.

단,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이 제한됩니다. 금융소득(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신청할 수 없습니다.

전 과세기간 소득 확정이 매년 7월쯤 이뤄지는 탓에 6월에 가입하는 경우 2021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소득 요건을 평가받습니다.

중위소득 180% 기준

구분2021년 기준 중위소득 2022년 기준 중위소득 
180%180%
1인가구1,827,8313,290,0951,944,8123,500,661
2인가구3,088,0795,558,5423,260,0855,868,153
3인가구3,983,9507,171,1104,194,7017,550,461
4인가구4,876,2908,777,3225,121,0809,217,944
5인가구5,757,37310,363,2716,024,51510,844,127
6인가구6,628,60311,931,4856,907,00412,432,607
7인가구7,497,19813,494,9567,780,59214,005,065

한도 및 기간

  • 매월 70만원 5년 만기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만기는 5년입니다.

중간에 납입이 없더라도 계좌는 유지됩니다.

정부기여금

가입자는 개인소득 수준,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매칭비율은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많은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득구간별로 차등을 두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기여금 지급 구조입니다.

개인소득(총급여 기준)본인 납입한도(月)기여금 지급한도(月)기여금 매칭비율기여금 한도(月)
2,400만원↓70만원40만원6.0%2.4만원
3,600만원↓50만원4.6%2.3만원
4,800만원↓60만원3.7%2.2만원
6,000만원↓70만원3.0%2.1만원
7,500만원↓

납입 금액과 소득에 따라 매달 21,000원∼24,000원의 정부 지원금이 지급된다. 매월 24,000원씩 5년을 지급받는다면 만기시에 정부지원금만 144만원을 받게 됩니다.

개인소득이 4,800만원(총급여 기준) 이하인 경우 납입한도(월 7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금액을 납입(월 40~60만원)하더라도, 정부기여금을 모두 수령할 수 있도록 기여금 지급한도를 별도로 설정하였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

  • 최초 3년 : 고정금리
  • 이후 2년 : 변동금리

금리는 6월 14일에 최종 확정이 되는데, 연 5.5~6.5% 수준에서 적용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만기 5년동안 3년은 가입 시 금리가 적용(고정)되고, 이후 2년간은 시장금리에 따라 변동합니다. 기본금리만 시장금리에 연동되고 우대금리는 고정됩니다.

2년 변동금리는 해당시점의 기준금리와 고정금리 기간 중 적용됐던 가산금리를 합해 설정될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금리

기본금리와 우대금리를 합쳐서 가장 높은 금리가 적용되는 은행에서 계좌를 만드는 것이 더 이익입니다.

은행기본금리
(3년 고정)
소득 우대금리은행별 우대금리
NH농협3.50%0.50%우대금리 최대 2.00%p
(① 급여실적 1.00%p, ② 카드실적 0.50%p, ③ 가입직전 1년간 농협은행 예적금(청약포함) 미보유 또는 NH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고객 0.3%p, ④ 마케팅동의 0.2%p)
신한3.50%0.50%우대금리 최고 연2.00%p
(① 급여이체 우대 연0.5%p, ② 신한카드 결제 우대 연0.5%p, ③ 첫 거래 우대 연0.8%p, ④ 만기축하 우대 연0.2%p)
우리3.50%0.50%우대금리 최고 연2.00%p
(① 우리은행 예적금 미보유 고객 우대 : 연 1.0%p, ② 급여이체 : 연 1.0%p, ③ 카드결제 : 연 1.0%p)
하나3.50%0.50%우대금리 최대 2.00%
(① 급여(가맹점대금)이체 : 연 1.0%, ② 하나 카드결제 : 연 0.6%, ③ 목돈응원(1년이내 예적금 첫거래) : 연 0.3%, ④ 마케팅동의 : 연 0.1%)
IBK기업4.50%0.50%우대금리 최대 연 1.50%p
(① 급여이체 0.50%p, ② 지로/공과금 0.50%p, ③ 카드이용 0.50%p, ④ 주택청약 신규 0.50%p, ⑤ 최초거래고객 & 마케팅동의 0.50%p)
KB국민3.50%0.50%우대금리 최대 2.00%p
(① 급여이체 1.00%p, ② 자동납부 0.50%p, ③ 거래감사 0.20%p, ④ 혜택수신 0.10%p, ⑤ 리브모바일 0.20%p)
DGB대구3.50%0.50%우대금리 최대 연 1.80%p
(① 마케팅 전체 동의 연0.30%p, ② DGB주택청약종합저축 보유 연1.00%p, ③ 대구은행 계좌를 통해 자동이체로 30회 이상 입금 연0.50%p)
BNK부산3.50%0.50%우대금리 최대 1.80%p
(① 신규고객 0.80%p, ② 급여실적 0.50%p, ③ 카드실적 0.50%p)
광주3.50%0.50%우대금리 최대 1.70%p
(① 첫거래우대금리 연0.70%p, ② 카드사용 우대금리 연0.80%p, ③ 만기축하 우대금리 연0.20%p)
전북3.50%0.50%우대금리 최대 1.50%p
(① 급여실적 0.50%p, ② 카드실적 0.50%p, ③ 적금 자동이체 0.50%p)
BNK경남3.50%0.50%우대금리 최대 2.00%p
(①마케팅동의 0.5%p, ②급여(가맹점)입금 0.5%p, ③주택청약 보유 0.5%p, ④최초신규고객 0.5%p)

가입방법

  • 6월 15일부터 11개 취급은행 앱을 통해 가입

취급은행은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SC제일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대구은행 입니다.

가입신청자는 은행 앱에서 연령조건, 금융소득종합과세자 해당 여부 등을 신청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 개인소득, 가구소득 요건은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비대면으로 확인하게 됩니다.

가구소득 요건 확인은 주민등록등본을 기준으로 가구원을 판단한 이후 가입자와 가구원의 소득조회 동의를 거쳐 이루어집니다. 요건 확인이 전부 완료되면 가입을 신청받은 은행에서 가능여부를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영업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신청하면 됩니다. SC제일은행은 내년 1월부터 운영을 시작합니다.

6월 15일부터 21일까지는 출생년도 5부제에 따라 신청을 받습니다. 22일과 23일에는 출생 연도와 상관없이 신청하면 됩니다.

7월부터는 매월 2주간 가입신청 기간을 운영할 예정이니다. 매달 첫주와 둘째주에 영업시간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취급은행 사이트입니다. 클릭하면 해당 은행으로 이동합니다.

신한은행우리은행국민은행
하나은행SC제일은행NH농협은행
대구은행경남은행전북은행
광주은행기업은행부산은행